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자격과 한도 및 모바일로 신청하기

디딤돌 대출은 민간 주택담보대출보다 낮은 금리가 최장 30년까지 유지되는, 상대적으로 소득 수준이 낮은 주택 구입자를 대상으로 한 정책 모기지 상품으로 일정한 소득 요건과 집값 요건 5억 원을 충족해야 신청할 수 있는 대출 상품이며 만 30세 이상의 미혼인 단독 세대주는 주택 가격 3억 원 및 대출한도 1.5억 원으로 이용을 할 수 있고 기혼인 부부합산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인 경우나 생애 최초 또는 신혼부부, 2자녀 이상 가구 7천만 원 이하인 경우에 신청이 가능한 대출 상품으로 디딤돌 대출의 자격이 된다면 한도와 금리를 확인 후 신청하시길 바랍니다,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자격조건
- 만 19세 이상의 내국인
- 부부합산 연 소득 6천만 원 이하, 생애 최초, 신혼부부, 2자녀 이상 가구 연 소득 7천만 원 이하
- 순자산 기준금액 4.58억 원 이하
- 신청인 본인이 세대주인 만 30세 이상의 미혼 무주택 단독 세대주
※ 만 30세 미만의 미혼이신 분의 경우 원칙적으로는 불가능 하지만 직계존속이나 미성년 형제자매를 주민등록상 6개월 이상 부양한 경우 마찬가지로 주택 가격 5억 원 및 대출한도 2억 원까지 이용을 할 수 있으며 또한 대출을 받은 날로부터 1개월 내에 대출받은 주택에 전입 후 1년 이상 실거주 유지해야 합니다.
※ 정당한 사유 없이 1개월 이내 전입하지 않고 1년 이상 실거주하지 않는 경우 기한이익이 상실되고 대출금을 상환해야 합니다.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대상 주택
- KB 시세 3억 원 이하의 주택
- 전용면적 60㎡ 이하로 수도권을 제외한 읍·면 지역은 70㎡ 이하
- 기혼 세대(신혼부부 포함)는 주택 5억 원 이하의 주거전용면적 85㎡ 이하
※ 수도권을 제외한 도시 지역이 아닌 읍·면 지역은 100㎡ 이하까지 신청 가능하며 직계존속이나 미성년 형제, 자매 등 신청일 기준 6개월 이상 부양하는 경우 디딤돌 대출 대상 주택의 제한 요건을 적용받지 않습니다.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금리
- 금리 : 고정금리 연 2.15 ~ 3.00% 또는 5년 단위로 변동금리 적용
※ 생애최초 주택구입자의 경우 0.2%, 신규 분양주택 가구 0.1% 금리 인하 혜택 적용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기간
- 대출 기간 : 기간은 10년에서 30년으로 5년 단위로 기간을 선택할 수 있으며 거치기간의 경우 최대 1년까지 설정이 가능하며 상환 방식은 매월 원리금 균등 분할상환이나 원리 균등 분할상환, 체증식 분할상환 중 하나를 선택하여 납부 가능합니다.
※ 중도상환 수수료는 최대 3년 최대 이율 1.3%로 잔여일 수에 따라 납부가 이루어지며 체증식 분할상환 방식은 5년 변동금리의 적용이 불가합니다.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한도
- 미혼 세대주 (만 30세 이상) : 최대 1억 5천만 원
- 기혼 세대주(신혼부부 포함) : 최대 LTV 70% ~ 80% 이내로 최대 2.5억 원 이하 / 신혼가구 2.7억 원 이하 / 2자녀 이상 3.1억 원 이하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필요 서류
- 신분증, 인감도장, 인감 증명서, 주민등록 등본, 주민등록 초본(과거 이력 포함), 청약저축 내역
- 배우자의 신분증, 건강보험자격득실 확인서, 배우자가 소득이 있는 경우 근로소득원천징수, 소득이 없는 경우 신고소득 없다는 사실증명
- 가족관계 증명서, 혼인관계 증명서, 재직 증명서, 급여 명세서, 건강보험 자격득실 확인서(최근 2년분)
- 근로 소득원 원천징수 영수증, 임대차 계약서, 계약금 5% 이상 납부 영수증
- 이사 갈 곳의 등기사항 전부 증명서, 전입세대 열람 확인서(동거인 포함)
※ 은행을 방문하기 전 추가로 필요한 서류가 있을 수도 있으므로 은행에 꼭 문의한 후 방문하셔야 합니다.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신청방법

신청 방법은 은행 방문 신청, 온라인 신청, 모바일 신청 등의 방법으로 모두 필수 구비서류가 필요하며 방문 신청의 경우는 우리, 신한, 국민, 농협, 기업은행에서만 신청이 가능하고 온라인 신청은 한국 주택금융공사 홈페이지나 기금 e 든든 모바일 앱 설치 후 신청하시면 되며 오늘은 모바일 신청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기금 e 든든 모바일
1. 기금 e 든든 모바일 앱 설치 후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을 클릭해 줍니다.

2. 대출대상과 금리, 한도, 기간에 대한 설명이 나오며 확인 후 자세히 보기를 클릭해줍니다.

3. 대출신청 창이 나오게 되며 먼저 주택구입자금 계산하기를 클릭하여 대출 종류와 자격, 연소득 및 부채를 입력하면 예상 대출 금액이 나오며 최소한의 입력 항목을 바탕으로 산출된 참고 금액으로 보다 정확한 대출 금액을 알고 싶다면 가까운 은행을 통해 조회하시는 게 좋습니다.

- 예상 대출금액 내용을 확인 후 [대출 신청]을 클릭하여 완료한 다음 대출에 필요한 서류를 준비 후 은행에 방문하시면 됩니다.
※ 인터넷을 통해 신청하게 되는 경우 시간이 오래 걸리며, 인터넷을 이용하기 때문에 신청인이나 배우자 등의 공동 인증서를 통한 온라인 동의가 가능한 경우에만 신청이 가능해 번거로운 단점이 있습니다.
※ 소유권 이전 등기를 한 경우에는 접수일로부터 3개월 이내까지 신청이 가능합니다.
※ 대출을 신청하게 되는 경우 발생하는 인지세 비용은 본인/은행 각각 50% 씩 부담하게 됩니다
여기까지 내 집 마련 디딤돌 대출 자격과 한도 및 모바일로 신청하기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