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석이나 설날 같은 명절이 다가오면 온 친지 식구들이 모여 조상에게 예를 갖추는 차례를 지내게 됩니다.
하지만 요즘 같이 차례를 지내는 풍습을 점점 생략하게 되면서 차례상을 자주 접하지 못한 세대들은 추석이나 설날에 차례상에 무엇을 올려야 하는지, 순서는 어떻게 되는지, 알지 못해 난감한 상황에 처할 수 있습니다. 오늘은 이렀게 잊어져 가는 우리의 풍습인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지방 쓰는 법 및 차례 지내는 순서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지방 쓰는 법 및 차례 지내는 순서
추석 차례상은 명절 계절 특식을 천신 하는 제례여서 제삿밥(메)과 제사국(갱)을 올리지 않고 그 자리에 송편을 올리며 시접에는 숟가락은 담지 않고 젓가락만 담는 식으로 시작하게 됩니다.
제사 음식을 제수라고 하여 제수도 지방과 가정에 따라 다르게 지내는 등 제수를 제사상에 차리는 것을 진설이라고 하며 각 가정이나 지방에 따라 매우 다양한 방식으로 차려지게 됩니다.
제사상 용어
- 고서비동 : 신위와 송편 및 술잔은 아버지가 서쪽, 어머니가 동쪽
- 동두서미 :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
- 좌포우혜 : 외쪽에 포와 오른쪽에는 생선젓
- 동조서율 : 대추는 동쪽, 밤은 서쪽
- 어동육서 :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
- 적전중앙 : 적은 잔을 올릴 때마다 바꿔 올리는 제상의 중앙 제3열을 놓는 제수의 중심 음식
- 홍동백서 : 동조서율을 전제로 동쪽으로부터 대추, 감, 사과의 순으로 붉은 과실을 서쪽으로부터는 밤, 배의 순으로 흰 과실을 놓으며 색깔의 현란함을 피하기 위해 중간에는 조과를 올려놓음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
추석 차례상의 경우 밥, 국, 숭늉 등은 신위 수대로 준비하고 추석의 경우 송편, 설날의 경우 떡국 등을 올리며 밥은 그릇에 담아 밥뚜껑을 덮고 국은 쇠고기 뭇국을 흔히 쓰고 덮개를 덮으며 숭늉은 냉수 혹은 더운물에 밥알을 조금 풀어 주는 등 술이나 식초, 간장, 떡, 탕, 전, 구이(적), 어포, 육포 등, 식혜, 나물, 김치, 과자 및 과일 등은 신위 수와 상관없이 준비합니다.
1열
1열은 조상과 가장 가까운 자리이자 차례를 지내는 사람과는 가장 먼 거리에 위치한 자리로 밥과 국, 송편 등을 올리고 시접(젓가락과 수저)과 술잔은 서쪽으로 신위 수대로 올려줍니다.
2열
2열은 세 가지의 전과 전으로 올리는 자리로 생선은 동쪽, 고기는 서쪽인 어동육서와 생선의 머리는 동쪽, 꼬리는 서쪽인 두동미서 맞춰 음식을 놓아줍니다.
3열
3열은 탕 종류가 올라가는 자리로 두부와 채소류인 소탕과 서쪽 에는 육탕과 동쪽으로는 어탕 등의 순으로 탕류들을 홀수로 놓아줍니다.
4열
4열은 밑반찬류를 놓는 자리로 좌측 끝에서부터 포로 시작하여 무나물, 고사리 미나리, 시금치 등과 같은 나물과 식혜, 간장 등의 순으로 우측 끝에는 식혜를 놓아주며 이 역시 홀수로 놓아줍니다.
5열
5열은 과일을 올려놓는 자리로 홍동백서에 맞춰 좌측 끝에서부터 대추로 시작하여 밤, 배 등의 과일과 과자 등의 순으로 놓아줍니다.
유의사항
- 차례상의 모든 음식은 홀수로 놓아줘야 합니다.
- 귀신을 쫓는 힘이 있다고 믿는 팥과 대신 복숭아처럼 털이 있는 과일도 올리지 않으며 흰 고물의 떡을 얼려줍니다.
- 삼치, 꽁치, 갈치와 같이 끝에 '치'로 끝나는 생선은 올리지 않고 조기와 같이 '어'나 '기'가 들어간 생선을 올려줍니다.
- 차례상 음식은 강한 향과 양념, 고춧가루 등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추석 차례상 지방 쓰는 법
임시로 종이에 글을 적어 위패 대신 삼은 것이 바로 지방은 고인의 이름과 사망날짜 등이 적힌 위패, 신주가 없는 집안에서 차례에 조상을 모시기 위해 임시로 이를 종이에 기록한 것이자 차례를 모시는 대상자를 상징하는 의미로 지방은 폭 6㎝, 길이 22㎝의 깨끗한 한지(백지·창호지)에 붓을 이용해 한자로 쓰는 것이 전통이지만 최근에는 한글로 쓰는 경우도 많아졌습니다.
현고/현비
제사를 올리는 본인과 조상과의 관계 (대상에 따라 바뀜, 母는 비로 적음)
부군
남성을 뜻하는 말로 남편의 높임말
유인
여성과 부인의 높임말
신위
고인을 모신다는 의미
- 지방 작성은 세로로 하고 지방의 상단 모서리가 접히거나 잘리지 않도록 하면서 고인을 모신다는 뜻의 나타날 현자를 쓴 후 고인과 차례를 모시는 사람과의 관계, 고인의 직위, 고인의 이름, 신위 등의 순으로 작성합니다.
- 부모님 차례상의 경우 지방은 두 분이 모두 돌아가셨을 때는 하나의 지방에 부모를 같이 적어주며 부친은 왼쪽, 모친은 오른쪽에 적어 줍니다.
- 부모님이 아닌 조상의 경우 지방에 쓸 조상이 두 분 이상이면 남자 조상은 왼쪽, 여자 조상을 오른쪽에 작성하며 관계 뒤에는 직위를 작성합니다.
- 조상이 만일 벼슬을 했다면 관계 뒤에 벼슬 이름을 쓰며 벼슬을 지내지 않았다면 남자 조상은 학생, 여자 조상은 유인이라 적어 줍니다.
- 벼슬 뒤에는 이름을 적으며 남자 조상은 부군이라 쓰고 여자 조상은 고인의 본관과 성씨를 적어 줍니다.
- 차례가 끝난 후 지방은 죽은 사람의 혼을 대신하는 것으로 한 번 사용한 뒤 바로 소각합니다.
추석 차례 지내는 순서
1. 강신
조사님을 차례상에 모시는 절차로 가장이나 제사를 주도하는 분들이 향을 피우고 술잔에 술을 조금 붓고 헹구어 모삿그릇 또는 향로에 붓습니다. 묘지에서 차례를 지내는 경우 술을 땅에 뿌리시면 됩니다.
2. 참신
제사를 주도하는 분과 함께 자손 모두가 조상님을 향해 절을 두 번 올립니다.
3. 헌주
각 신위마다 따로 잔을 올리는 절차로 송편에 숟가락을 꽂고 젓가락을 골라 시접 위에 걸쳐 놓으면 제주가 상 앞에 무릎 꿇고서 술잔 받침을 잡고서 술잔을 들어 올리고 옆에서 정종을 부으면 향 연기 위에 술잔을 3번 돌리고 올려주어 제주만 2번 절하고 그다음 순으로 다시 제주와 모든 사람들이 2번 또 절을 합니다.
4. 계반삽시 정저
밥그릇 뚜껑을 열고, 흠향하실 수 있도록 수저를 밥 위에 올리며 젓가락은 요리에 올린 뒤 조상님께서 흠향하실 동안 잠시 동안 공손하게 뒤돌아 서서 있거나 방 밖으로 나가 있습니다.
5. 철시복반
음식의 수저와 젓가락을 시접에 다시 올려놓고 음식 뚜껑은 덮어줍니다.
6. 사신
모셔 왔던 조상 신을 보내 드리는 절차로 제수 음식을 흠향하신 조상님께 다시 한번 감사 올리고 편히 돌아가시라고 의미로 모든 참석자가 남자는 두 번, 여자는 네 번 절을 올립니다.
7. 철상과 음복
차례 음식 과상을 치우고 가족이 함께 상의 음식을 나누며 조상의 덕을 기립니다.
➨ 명절 음식 탕국 맛나게 끓이는 법과 오색꼬치전 및 동태전 맛있게 만드는 법
지금까지 추석 차례상 차리는 방법과 지방 쓰는 법 및 차례 지내는 순서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