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나테네입니다.
지금부터 좋은 중고차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중고차를 고를 시 가격대가 저렴하고 합리적으로 구입하는 것도 중요하지만 사고이력이 있거나 중대한 결함이 있는 등 허위매물이 아닌지 고려해야 할 요소들이 정말 많습니다.
요즘처럼 부품 조달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으면서 신차 출시가 늦어지게 되고 이로 인해 중고차 가격은 내려가기는 커녕 신차의 가격을 넘어서는 차량도 나오는 등 올여름 장마로 인해 침수차도 늘어나면서 중고차 구입 시 좀 더 꼼꼼하게 검토하여 신중하게 선택하시는 게 중요합니다.
좋은 중고차 고르는 방법
1. 시세 파악하기
중고차를 고를 때 가장 먼저 고려하는 것은 구매 가격으로 내가 측정한 가격 내에서 가성비 좋은 차량을 고르는 것이 중요하기에 먼저 내가 구매하려고 하는 차종의 종류들의 중고 시세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평균 시세보다 낮게 측정된 차량은 사고나 고장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평균 시세보다 낮은 것으로 중고차 구매 시 중고차 검증이 확실하게 되어 있는 엔카 등에서 원하는 차량의 시세를 파악하고 선택하셔야 합니다.
2. 성능점검기록부 확인하기
성능점검기록부는 중고차의 현재 상태와 이전의 사고 고장 여부가 기록되어 있는 서류로 겉으로는 정상처럼 보이더라도 성능기록부에 '유'사고로 적혀있거나, 외부 패널이 교환되었더라도 '무'사고로 적혀있는 경우가 있기 때문에 성능기록부도 꼭 함께 꼼꼼하게 확인하셔야 합니다.
성능기록부에 사고유무란에 '유'라고 표시되어 있다면 판금 상태와 교체 부위 , 엔진 , 변속기 등 차량의 전반적인 상태를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골격이 수리된 사고차는 큰 사고로 인해 성능에 문제가 생길 수도 있기 때문에 무조건 선택하지 않습니다.
3. 보험이력 확인하기
보험 이력을 확인하시는 것도 중요합니다.
보험이력을 보면 이 차량의 사고가 얼마나 크게 났는지, 무사고인지, 사고의 유무를 확인할 수 있으므로 보험사고이력의 상세정보를 보면 중고차 수리비 지급내역이 나와 있으며 사고 시 수리비가 많이 나오거나 적게 나오는 등 비용에 따라 큰 사고인지, 작은 사고인지 기재되어 있어 중고차를 고를 시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4. 주행거리와 연식 파악하기
중고차의 객관적인 정보들을 확인했다면 그다음은 차량을 직접 확인하는 단계로 주행거리도 확인하는 것이 좋은데 연식에 비해 주행거리가 너무 짧은 차량이나 신차의 경우 차량의 문제가 있을 경우도 있으며 너무 오래된 연식의 차량은 부품 수급 문제나 잔고장으로 인해 골머리가 아플 수도 있기 때문에 선택하지 않는 등 차량의 주행거리를 보고 이왕이면 연간 16,000km~20,000km의 적절하게 운행한 차량을 선택하시는 게 좋습니다.
5. 엔진룸 확인하기
엔진은 자동차의 심장으로 필수로 확인이 필요합니다.
엔진오일의 주입구를 열어보시면 오일 캡에 노란빛을 띠는 경우가 있고 검은빛을 띠는 경우가 있는데 노란빛을 띠고 있다면 엔진의 상태가 양호하다는 것이지만 검은빛을 띠고 있다면 엔진의 상태가 좋지 않다는 신호로 상한 우유냄새가 난다거나 생선 냄새가 나는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구매를 보류하셔야 하며 엔진오일의 누유도 체크해 보아야 하는데 이때는 자동차 엔진 아래에 신문이나 종이 등을 깔고 시동을 건 후 10분 정도를 가속페달을 밟았다 떼는 것을 반복하면 신문이나 종이 등에 오일이 묻어있는지 묻지 않았는지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6. 침수차 확인하기
요즘처럼 비가 많이 온 계절에는 중고차를 구매 시 침수차인지 아닌지를 확인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차에 탔을 때 물 비린내나 이상한 냄새가 난다면 발 매트를 깠을 때 물가 모래가 보일 수 있으며 또한, 문을 열었을 때 삐걱하는 소리가 난다면 차 안쪽 휠을 모면 청소가 안된 모래들을 확인한다면 침수차량으로 안전띠를 잡아당겼을 때, 재떨이 부분에 모래가 나온다면 침수차량 가능성이 큽니다
이 외에 침수차 확인은 '자동차 365', '카히스토리' 사이트에서 침수차 확인을 하실 수도 있습니다.
7. 외관 확인하기
차량의 외관을 검사하실 때는 도색 상태나 찌그러짐 , 씰링, 스톤칩, 문콕 등을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차량 문콕 외판의 경우 도장면이 일정하지 않다든지, 씰링의 상태가 매끄럽지 않다던지, 볼트가 풀린 흔적이 있는지 등 범퍼, 트렁크, 도어, 전면 펜더, 본넷 5개 체결부위를 보면 쉽게 확인할 수 있으며 이 부분들이 교환되거나 수리되었다고 해서 사고차는 아니지만 성능점검기록부와 보험이력 서류와 잘 비교해보면서 외부 패널 중 휀더의 교환 여부를 살펴보며 보닛 안쪽과 문 안쪽의 색상이 동일한지, 지폐로 차량 외부 판금을 비추었을 때 울퉁불퉁하게 보이지 않고 매끈하게 보이는지도 잘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8. 차체의 떨림 확인하기
차량의 승차감이 떨어지게 되면 운전을 할 때 피로감뿐만 아니라 스트레스도 증가할 수 있기 때문에 시동을 걸고 핸들 위에 동전을 올려 보았을 때, 동전이 떨어지지 않는다면 괜찮은 차량이지만 동전이 떨어진다면 그만큼 차체 떨림이 심한 차이기 때문에 다시 한번 고민해 보셔야 합니다.
9. 연소상태 확인하기
일반적인 정상 차량은 시동을 걸었을 때 머플러 내부에 물기만 묻어 나오게 됩니다.
하지만 연료가 불완전 연소하는 차량의 경우는 검은빛의 찌든 때가 묻어 나오게 되면서 연소가 심해질 경우 주행 자체가 어려워지는 상황이 발생하기도 때문에 꼭 확인해보셔야 합니다.
10. 주행 테스트
정지 시에 발견하지 못했던 문제점이 시운전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점검 후 이상이 없다면 가장 중요한 시운전도 중요합니다.
1. 시운전할 때는 저속으로도 달려 보고, 고속으로도 달려보아 각 변속시점에서 변속의 충격은 발생하지 않는지, 속도와 RPM에 맞게 변속이 되는지를 중점적으로 확인하며 또한, 직진 도로에서 핸들을 놓았을 때 차량이 사선 방향으로 향하지 않고, 직진에 가깝게 주행하는지도 확인하도록 하는데 이때 차가 한쪽으로 쏠린다면 휠 얼라이먼트가 틀어진 차량으로 정비가 필요한 차량입니다.
2. 중고차 시운전 시 과속 방지턱을 지날 때 찌그덕 소리나 뿍뿍 소리, 덜거덕 거리는 소리, 주행 시 단단함이 안 느껴진다면 하체에 부싱 부위나 링크 부위에 균열이 일어난 상태로 정비가 필요하며 주행 중 브레이크도 밟았을 때의 제동력과 끼익~하는 소음이 나지는 않는지 등의 확인도 필요합니다.
여기까지 좋은 중고차 고르는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감사합니다.
댓글